본문 바로가기
정보전달

제2연평해전·천안함 피격사건·연평도 포격전…‘서해수호의 날 기념식’ 28일 대전 현충원서

by 2022S 2025. 3. 27.
728x90
반응형

 

제2연평해전·천안함 피격사건·연평도 포격전으로 희생된 서해수호 55영웅과 참전 장병의 공헌을 기리는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이 28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은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는 서해수호 55영웅의 유가족 및 참전 장병, 정부 주요 인사, 군 주요 직위자, 시민, 학생 등 1,500여 명이 참석한다. 


‘서해수호의 날’은 제2연평해전(2002년 6월29일)·천안함 피격사건(2010년 3월26일)·연평도 포격전(2010년 11월 23일)으로 희생된 이들과 참전 장병의 공헌을 기리고 국토수호 결의를 다지기 위한 기념일로, 지난 2016년부터 매년 3월 넷째 금요일을 지정해 정부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서해를 지켜낸 영웅들, 영원히 기억될 이름들’이라는 주제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55영웅의 희생을 잊지 않고 끝까지 지켜가겠다는 의지를 담아 진행된다.


해군 출신 배우 하도권과 박소현 아나운서가 사회를 맡으며 행사는 ▲국민의례 ▲헌화·분향 ▲헌정공연 ▲서해수호 55영웅 다시 부르기(REMEMBER 55) ▲기념사 ▲다짐 영상 ▲군가 합창 ▲추모 비행 순으로 50분간 거행된다. 


기념식에 앞서 제2연평해전과 연평도포격전 전사자 묘역, 천안함46용사 묘역, 고(故) 한주호 준위 묘소 참배도 이뤄진다.


기념식에서 연평도 포격전 참전장병인 김상혁 원사가 국기에 대한 맹세문 낭독을 통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게 되며, 서해수호 유족 및 참전장병, 정부 대표, 군 주요 직위자의 헌화·분향이 진행된다. 헌화·분향에 이은 묵념에서는 21발의 조포가 발사된다. 


이어 서해수호의 역사와 호국영웅의 사명을 자료 영상과 배우들의 현장 연기, 참전장병의 내레이션으로 구성한 헌정공연 ‘기억의 자리’가 진행된다. 


서해수호 ‘55영웅 다시 부르기(REMEMBER 55)’를 통해 전사자 모교 후배와 55용사 묘역가꾸기 자원봉사자, 대학생 등이 서해수호 55영웅의 영정을 들고 무대에 오르게 되고, 사회자가 영웅들의 이름을 다시 호명한다.


기념사에 이어 대한민국을 수호하고 있는 해군과 해병대원들의 국토수호에 대한 사명감과 자긍심이 담긴 영상이 상영되며, 육군·해군·공군·해병대 장병들의 군가 합창이 이어진다. 


기념식은 블랙이글스의 추모 비행과 육군국악대의 폐식 연주로 마무리된다.


국가보훈부는 제10회 서해수호의 날을 맞아 서울 청계광장에서 28일까지 서해수호 55영웅 추모를 위한 ‘불멸의 빛’ 점등(저녁 8시~8시 55분) 행사도 진행한다.

 

제2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 9 54, 북한경비정 2척이 NLL을 침범

  - 10 25분 우리 고속정 참수리-357호정에 대해 기습공격을 감행, 31분간 교전 발생

  - 참수리-357호는 예인 중 기관실 천공으로 침몰(북한 경비정은 화염에 휩싸인 채 10 56분 퇴각), 참수리호는 침몰 53(2002년 8월 21일)만에 인양

 

천안함 피격사건

 2010년 3월 26일 21 22, 백령도 서남방에서 북한의 어뢰공격

 - 2010년 3월 26일 21 28, 천안함 함미 완전 침몰

 - 2010 3월 26일 23 13, 승조원 104명 중 58명 구조(46명 실종)

 - 2010년 3월 30일 해군 특수전여단 한주호 준위 탐색작전 중 전사

- 2010년 4월 4일 실종자 구조수색작전에서 함체 인양작전으로 전환(함미 4월 15일, 함수 4월 24일 인양)

   - 2010년 4월 29일 천안함 46용사 합동 영결안장식 거행

 

연평도 포격전

2010년 11월 23일 14 34분 적의 기습 방사포 사격, 15 41분까지 교전

 - 아군은 자주포 3문으로 1447 1차 대응사격 개시(50)

 - 1511분부터 적의 2차 포격 시작, 1525분 아군은 자주포 4문으로 2차 대응사격(30)

- 1541분까지 적과 교전이 있었으며, 이후 소강상태 유지

 

 

서해수호 55영웅 명단

 

제2연평해전

 故 윤영하 소령, 故 한상국 상사, 故 조천형 상사  故 황도현 중사, 故 서후원 중사, 故 박동혁 병장

 

천안함 피격사건

 故 이창기 준위, 故 최한권 원사, 故 남기훈 원사 故 김태석 원사, 故 문규석 원사, 故 김경수 상사

 故 안경환 상사, 故 김종헌 상사, 故 민평기 상사 故 최정환 상사, 故 정종율 상사, 故 신선준 상사

 故 박경수 상사, 故 강  준 상사, 故 박석원 상사 故 임재엽 상사, 故 손수민 중사, 故 심영빈 중사

 故 조정규 중사, 故 방일민 중사, 故 조진영 중사  故 문영욱 중사, 故 박보람 중사, 故 차균석 중사

 故 이상준 중사, 故 장진선 중사, 故 서승원 중사 故 서대호 중사, 故 박성균 중사, 故 김동진 중사

 故 이용상 하사, 故 이상민(88) 하사, 故 이재민 하사 故 이상희 하사, 故 이상민(89) 하사, 故 강현구 하사

 故 정범구 병장, 故 김선명 병장, 故 안동엽 병장 故 박정훈 병장, 故 김선호 병장, 故 강태민 상병

 故 나현민 상병, 故 조지훈 상병, 故 정태준 일병 故 장철희 일병, 故 한주호 준위(실종 장병 구조작업 중 전사)

 

연평도 포격전

 故 서정우 하사, 故 문광욱 일병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