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이 국내 유일의 무형유산 영화제 ‘2022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International Intangible heritage Film Festival, IIFF)’를 16일부터 25일까지 온라인에서 개최한다.
23일부터 25일까지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개막식을 포함한 대면 행사도 진행한다.
올해 영상축제의 주제는 ‘음식문화’다.
‘음식’은 단순히 먹고 마시는 것을 넘어, 만들고 나누는 모든 과정에 문화적 의미가 담긴 무형유산이다.
좁게는 집안에서부터 넓게는 지역과 나라별로 각기 다른 음식문화는 각 공동체의 정체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번 축제에서는 전 세계 다양한 음식문화를 담은 영화와 영상을 통해 일상 속에 있는 무형유산을 소개한다.
개막작으로 선정된 ‘평양랭면(2021)’, 벨기에 맥주문화를 다룬 ‘람빅, 시간과 열정의 맥주(2020)’, 멕시코 전통요리를 소재로 한 ‘다이애나 케네디: 과카몰리 철학(2019)’, 미국의 테이블세팅 대회를 기록한 ‘세팅!(2021)’등이 18개 국가 32편의 영상이 상영된다.
아카이브 제작지원작으로 선정된 ‘제주 떡 우주를 빚다(2022)’를 통해 국가무형문화재 ‘떡 만들기’의 제주도 문화도 엿볼 수 있다.
2편의 영화를 제외한 전편은 네이버TV(tv.naver.com/iiff2020)를 통해 온라인으로 편하게 관람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무형유산의 가치를 담은 다양한 작품으로 영국 더럼 지역의 탄광 역사를 아름다운 영상으로 표현한 ‘광부들의 찬가(2011)’, 북아프리카 모잠비크에 사는 마콘데 공동체 남성들의 탈춤을 다룬 ‘사운드 오브 마스크(2018)’, 스위스 시계 제작 과정을 담은 ‘시계공장의 아나키스트(2022)’ 등이 있다.
폐막작 ‘영원, 위나이파차(2017)’는 남미의 사라져 가는 안데스 아이마라족을 다큐로 담은 작품으로 영상이 무형유산 아카이브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준다.
3년 만에 대면 행사도 운영한다.
24일 오후 7시 국가무형문화재 ‘장 담그기’를 소재로 한 ‘된장(2010)’을 상영에 앞서 오후 3시 국립농업과학원과 협업으로 장 담그기 체험을 연다. 오후 6시에는 된장 식품명인 조정숙과 요리하는 영화기자 김구철이 된장과 영화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좌석에 제한이 있어 사전 신청을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누리집(iiff.iha.go.kr)과 공식 사회관계망(페이스북, 인스타) ‘국립무형유산영상축제’ 계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타 문의는 전화(070-7954-1152)로 하면 된다.
'정보전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실 여성사’로 만나는 창경궁, 특별관람 프로그램 진행 (1) | 2022.09.20 |
---|---|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정원 작품 공모전 (0) | 2022.09.17 |
목포해양유물전시관에서 만나는 한국의 수중발굴과 전통배 (0) | 2022.09.13 |
가을 밤 특별한 산책 …‘경복궁 별빛야행’ (9월 15~25일) (0) | 2022.09.01 |
13일 슈퍼문이 뜬다, 국립과천과학관서 ‘슈퍼문 특별관측회’ (0) | 2022.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