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전달

577돌 한글날 기념 ‘2023 한글주간’ 행사 풍성…10월 4일부터 10일까지

by 2022S 2023. 9. 27.
728x90
반응형

577돌 한글날을 기념한 ‘2023 한글주간’이 10월 4일(수)부터 10일(화)까지 1주일간 펼쳐진다. 


‘미래를 두드리는 한글의 힘!’을 주제로 한 디지털 고도화, 인공지능 시대의 거대한 변화의 앞에서 새로운 미래를 여는 원동력으로서의 한글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됐다. 


‘2023 한글주간’은 한글문화산업전시회와 함께 막이 오른다. 


‘2023 한글주간’ 개막식은 4일 오전 10시 한글문화산업전시회 행사장에서 진행된다. 


한글주간 행사의 하나로 열리는 한글문화산업전시회는 4일부터 6일까지 서울 양재동 에이티(aT)센터에서 진행된다. 


한글문화와 한글 산업을 통합한 전시로 챗지피티(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가져올 변화에 대응할 산업적 기반을 활성화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가상현실 공간에 한글그림을 그리는 염동균 작가의 공연으로 개막식이 막을 오른다. 


한글문화산업전시회에서는 인공지능, 챗봇, 기계번역, 교육·출판, 한글 기업 등 36개 기업이 참여해 한글 산업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을 전시한다. 4일에는 ‘제1회 한컴지니케이 인공지능(AI) 한국어 말하기 대회’가 열린다. 5·6일에는 4회에 거쳐 ‘한국어 빅데이터 활용 기업 초청 강연’이 진행된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도 한글 대축제가 펼쳐진다. 


10월 4·5일 ‘제15회 집현전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7일에는 ‘한글 글꼴패션쇼’, ‘제2회 우리말 창작가요’ 결선, 한글 형상을 이용해 안무를 만든 ‘한글 브레이킹댄스’ 등이 진행된다. 


8일에는 세종대왕과 정의공주의 이야기를 담은 뮤지컬 ‘한글의 빛, 정의의 노래’, 조선 시대 그림 해설에 연주가 더해진 ‘조선의 예술과 소리’ 공연이 펼쳐진다.


한글날인 9일에는 한글을 소재로 한 영상 공모작 시상과 공연 ‘ㄱ을 기록하다. 더 글 놀이’, 어린이 합창단과 국악 아카펠라 공연, 가수 ‘다비치’의 축하 공연이 준비됐다. 


전통연희와 전통 무예 공연, 대붓 공연(캘리그래피) 등 행사도 풍성하다. 


10일에는 어린이들에게 올바른 언어습관을 알려주는 가족 뮤지컬 ‘사랑해요 예쁜말!’이 공연된다. 


축제 기간에는 문자 그림 압화 책갈피 만들기, 한글 빛 글씨 만들기(네온사인 만들기), 한글 손톱 그림(네일아트),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전시와 체험 등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한글의 다양한 모습을 체험으로 만날 수 있다. 


5일부터 31일까지는 ‘책 속 인물에게 보내는 한글 손편지’ 공모전 당선작 전시회 열린다. 

 


국립국어원은 10월 5·6일 에이티(aT)센터에서 ‘2023 세계 한국어 한마당’을 갖는다.

장소
일정
5층 그랜드홀 4층 창조룸 4층 창조룸 3세계로룸 3세계로룸 3세계로룸
1일차
10. 5.
()
10:00~
10:50
개회식
(개회사, 환영사, 주제 영상 및 소리책 영상 상영 등)
10:50~
12:40
기조 강연
(홍재성(서울대 명예교수), 장클로드 드크레센조(전 엑스마르세유대학 교수)
13:30~
17:30
(4시간)
언어자원과 인공지능 산업 전자화·기계화 시대의 국어 이해와 생성 한국어 어휘의 삶, 그 탐구와 활용 케이 컬처 시대의 한국어와 사회언어학 사전과 사용자 한국어 교육 도약기, 국외 지역 한국어교원 지원 전략
(국립국어원) (한국어의미학회 등) (구결학회) (사회언어학회) (한국사전학회) (국립국어원)
2일차
10. 6.
()
10:00~
16:30
(6시간 30)
*12:00~13:30
점심시간
K-콘텐츠 번역을 통한 한국어 생태계의 확장 전자화·기계화 시대의 국어 이해와 생성 한국어 어휘의 삶, 그 탐구와 활용 국어능력 평가의 전환기, 새로운 정책 방안 모색 월경(越境)하는 한국어의 운명과 K-문학의 지정학
(인문학협동조합 등)
한국어 교육의 기회 -한국어 교육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한국어번역학회 등) (국어학회) (국어사학회) (국립국어원) 우리말과 외래어 표기
(한국외대 언어연구소)
(한국언어문화
교육학회)
16:30~
17:35
폐회식
(신진학자 학술장려상 시상, 학술대회 성과 좌담회 등)

 

‘세상을 담은 한국어, 미래로 가는 한글문화’를 주제로 한 국제 학술대회와 소리책(오디오북) 공개 행사 ‘2023 함께 읽다’가 펼쳐진다. 

 

일시
장소
10.7.()
12:00 20:00
10.8.()
12:00 20:00
10.9.(, 한글날)
12:00 20:00
체험 잔디광장 소중한 우리글 책갈피 만들기
- 7회차 / 회당 50, 16/ 112
재미난 한글 낱말 놀이
- 상시 운영 / 1회당 약 7분소요
세종대왕 훈민정음 책 만들기
- 7회차 / 회당 50, 16/ 112
훈민정음 언해본 탁본 체험
- 상시 운영 / 1회당 약 7분소요
세종대왕 모형 만들기
- 7회차 / 회당 50, 16/ 112
우리글 가훈 쓰기 체험
- 상시 운영 / 1회당 약 7분소요
훈민정음 친환경 가방 만들기
- 7회차 / 회당 50, 16/ 112
아름다운 한글 멋글씨 체험
- 상시 운영 / 1회당 약 7분소요
실내 아름다운 우리글 거치대 만들기
- 7회차 / 회당 50, 16/ 112
-
특별행사 잔디광장 우리말 받아쓰기 대회 숨겨진 한글을 찾아라 또 하나의 언어 수어
공연 잔디광장 (퓨전판소리)만월프로젝트
(뮤지컬)뮤페라N샤르망
(마술)쇼메이커스
(마임)찰리의여행가방
(전통마당놀이)
남사당놀이 보존회
독서 잔디광장 독서 쉼터 운영(내외 120여권)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은 ‘한글만남 : 하나 된 글, 한글’을 주제로 10월 7일부터 9일까지 박물관과 송도 센트럴파크 잔디광장에서 체험행사를 개최한다. 


세종학당재단도 전 세계 세종학당에서 선발된 우수학습자 170여 명을 초청해 ‘한글주간’ 행사에 참여하다. 


10월 5일부터 11일까지 한국 전통 역사문화 체험, 케이팝 콘서트 등 한류 체험, 한강과 광장시장 체험 등 한국문화 체험 연수가 이뤄진다. 10일에는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쓰기 대회 결선 행사를 갖고 최종 우승자에게 문체부 장관상을 수여한다. 


재외한국문화원과 세종학당도 한글날을 맞아 다양한 문화행사를 준비했다. 


주엘에이한국문화원은 10월 4일 ‘미주 한국어 시낭송 대회’를 개최하고, 주오사카한국문화원은 한글산업화 육성 및 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다양한 한글콘텐츠와 문화상품을 전시(9월25일∼10월21일)한다. 마다가스카르, 미얀마, 탄자니아 등 해외 74개국의 세종학당에서도 한글 손글씨 쓰기, 한국문화 관련 퀴즈 맞히기 등의 행사를 갖는다.

 
‘2023 한글주간’ 행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 누리집(한글날.com)과 누리소통망(인스타그램 hangeulweek), 유튜브 채널(한글주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공식 포스터와 홍보지(리플릿) 등의 중앙에 있는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바로 누리집으로 이동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